카테고리 없음

역사속의 민망한 이름들...

돈키호테007 2023. 9. 5. 07:11

역사속 실제로 있었던
"민망" 한  이름 8명을 소개합니다.

1. 김자지(金自知, 1367~1435)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1428년(세종 10) 지금의 법무부 장관과 비슷한 형조판서를 역임했다.
일설에 의하면 한문이 뛰어나고
음양·천문·지리·의약 등에 통달했다.
불교를 배척해, 여러 아들들에게 자신의 장례를 '유교식'으로 치러줄 것을 부탁했다.
당시엔 한자 '지(知)'의 발음이 '디'에 가까워
"김자디"라 불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2. 왕자지(王字之, 1066~1122)
고려 중기의 문신이다.
고려 숙종(1054~1105) 때 내시를 지냈다.
(당시 내시는 거세를 하지 않았다).
이후 함경남도 함주에서 여진(女眞, 만주족)을
무찌르는 등 활약했다.
추밀원(樞密院)에서 동지사(同知事)를 지냈다.
현재로 따지면 대통령 비서실 수석비서관쯤 된다.

3. 이시발(李時發, 1569~1626)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임진왜란(1592~1598) 당시 왜군 적장
고니시(小西行長)를 정탐하는 등 활약했다.
이후 이몽학의 난(1596), 정유재란(1597) 등에서
공을 세워 1604년(선조 37) 형조참판에 임명됐다. 남한산성 건축을 감독했다.

4. 신보지(申寶至, ?~1196)
고려 중기의 무신이다.
고려 명종(1131~1202) 때 장군이 됐고,
1181년(고려 명종 11) 금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돼
같은 해 12월 종4품의 벼슬 어사중승에 올랐다.

5. 이자위(李子威, ?~?)
고려 중기의 문신이다.
1076년 요(遼)나라 황후가 상을 당하자
사신으로 다녀왔다.
하지만 1093년(고려 선종 10) 송(宋)나라에 보내는 국서에 실수로 요나라를 써 파직됐다.
2년 뒤 반란에 연루돼 남쪽 변방으로 유배됐다.

6. 강간(康侃, ?~?)
조선 중기 과거 합격자다.
1733년(영조 9) 급제해 각 도의 역참
(중앙과 지방정부 사이의 운수, 연락 등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선의 교통·통신기관)을
관리하는 찰방(察訪)을 지냈다.

7. 남근(南瑾, 1556~1635)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1586년(선조 19) 장원(수석)으로 급제했다.
광해군(1575~1641) 원년에는
"선조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조선시대 대표 교육기관 '성균관'의 대사성을 지냈다.
대사성은 성균관의 최고 벼슬로,
정3품 당상관직 고위 인사다.

8. 박규(朴葵, ?~1437)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1429년(세종 11)
황해도관찰사를 거쳐 형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1433년(세종 15) 평안도관찰사로 발령 받았으나,
재직중 도적의 약탈을 막지 못해 유배됐다.
     *♡*  즐거운 하루 되세요  ^^               -퍼온글-

●KT,LG U+ MVNO 전국사업본부●
https://open.kakao.com/o/g02DCG6e

선불폰또순이통신

''글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궁둥이로 쓴다. 생각 안나면 코딱지 후비고, 라면 끓여먹고,..'' 그러면서 계속 쓴다. #선불#후불#신불

open.kakao.com